‘안다는 것’과 ‘감당한다는 것’ 사이엔
강이 하나 있는데,
알면 알수록 감당하기 힘든 것이 그 강의 속성인지라,
그 말은 그저 그 사이 어디쯤에서
부단히 헤엄치고 있는 사람만이 겨우 할 수 있는 것이다.
신영복은 ‘아름다움’이 ‘앎’에서 나온 말이며,
‘안다’는 건 대상을 ‘껴안는’ 일이라 했다.
언제든 자기 심장을 찌르려고 칼을 쥔 사람을 껴안는 일,
그것이 진짜 아는 것이라고.
세상엔 자신의 유서를 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싸움은 그들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싸움의 지속은
타인의 유서를 품고 사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
– 홍은전, ‘그 사람 얼마나 외로웠을까’, 한겨레, 2017년 7월 18일 23면
・
有口無言,
나 같은 사람이
뭔가 한 마디 붙이기에는
낯부끄러워 도저히 입을 뗄 수 없으니,
그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한다.
'Soliloqu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XXVII : “필요한 건 섹시한 서사가 아니라 담백한 지성이다” (0) | 2017.07.20 |
---|---|
CLXXV (0) | 2017.07.16 |
CLXXIV : 인생 참 쓸모없이 너무 길다 (0) | 201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