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시주제가 ‘미황사’라니.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이 땅에서 가장 아름​다운 절. 

오랜만에 찾는 학고재 갤러리.  


2
가는 길에 들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온통 슬픔으로 가득하다.

오늘의 작가상 수상자 가운데 하나인 
온갖 비인도적 범죄와 사고들, 
아우슈비츠와 체르노빌, 노근리와 윤이상 묘소, 
그리고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유바리와 미카사시,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풍경들을
민담의 텍스트와 시적으로 병치해 낸, 
어쩔 수 없이 표제부터 세월호가 떠오르는, 
보는 내내 눈물을 훔치게 되는 비디오 작품이었고, 

MMCA현대차시리즈 2017전,
임흥순의 2채널 비디오 작업 “환생”에서는 
베트남에서, 그리고 팔레스타인에서
죽임을 당한 이들과 
가족을 잃은 이들의 슬픔이 묵직하게 전해진다. 
특히  마디의 말도 없이 
동작과 표정을 담아낸 베트남 여인, 
마치 가해자의 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그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음을 
보여주려는 의도였던 듯 싶다. 

3
그러나 막상 삼청동에 간 목적이었던 
미황사 전은 그리 인상적이지 읺았고, 

오히려 며칠 전 기사에서 본 
해남을 그리는 마음만 더 커졌다.

스님과 사람들이 기계 없이 
오로지 손과 손으로 쥘 수 있는 도구로만
길을 냈다는데, 
다른 생명을 생각하는 그 마음이라니. 

4
한참 쉬었다, 
이제 길을 떠날 때가 되었나 보다,

해남 달마산 미황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