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지금 ‘정규직’은 오히려 하나의 

신분으로 이해되는 것 같다. 

[...]

하지만 우리는 정규직의 정의에 포함된 

안정성과 차별받지 않을 권리가, 

자격 있는 몇몇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누려할 권리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

어떤 삶도 비정규일 수 없다. 

고용 형태가 어떻든,

사람이라면 누구든 정규적 삶을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원재, “‘정규직, 비정규직’ 그만 쓰면 어떨까”

한겨레 2017.12.6(수) 27면


아무리 봐도 공채시험제도란

한 사람을 평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점수 몇 가지로 평생의 지위가 결정되는

참으로 이상한 제도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문제는

이 제도마저 없어진다면

그나마 공채제도가 보장하던 

경쟁의 공정성마저 무너져버릴 것이라는 데, 

또 정규직이 상징하던 고용의 안정성 역시

무너져버릴 것이 자명하다는 데에 있다. 


그러다보니 공채출신 정규직과 

그렇지 않은 경력직이나 비정규직 노동자들 사이에

일종의 신분관계가 형성되고 갈등이 증폭된다. 

결과적으로 비정규직의 삶은 곤고해지고

정규직의 삶 역시 (언제 비정규화될 지 모른다는)

끊임없는 위협에 시달린다.


과연 우리에게 해결할 방법이 있을까. 

우리에게 해결할 의지가 있을까. 


아니다, 

질문이 너무 추상적이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그 많은 비정규직들은 

정규직화될 수 있을까,

정규직화한다면

내가 찬성할 수 있을까? 

나의 기득권을 조금 내려놓을 수 있을까?


그러므로 질문은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

는 과연 해결할 방법이 있는가, 

해결할 의지가 있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