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활기차고 행복한 도시여 안녕,
말은 숨을 씩씩거리며 발로 땅을 차고,
이제 담담하게 떠남을 받아들이네.
지금껏 그대에게 슬퍼하는 모습 보여준 적 없기에
떠나는 것은 영혼이 젊은 자의 숙명.
미지의 세계가 환영해줄테니,
그러니 슬프지 않게,
씩씩하게,
안녕,
안녕.
・
이런 작별의 인사라면,
그리 쓸쓸할 것 같지 않다.
슈베르트 사후에 “백조의 노래”로
한 데 묶여 출판됐지만 그 노래들이 연가곡처럼
서로 긴밀한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
연가곡처럼 포장된 건 다분히 판매량을
늘리기 위한 출판업자의 기획이었으나,
다만 마지막으로 한번 운다는 ‘백조의 노래’에
하필이면 고별(Abschied)이 포함된 건
아무래도 흥미로운 일이다.
그것도 마이르호퍼(Mayrhofer)의 시에 곡을 붙인,
마치 기나긴 탄식과 한숨과도 같은
또다른 “고별(Abschied), D.475”과는 달리
이렇게도 유쾌한 작별인사라니.
이토록 사랑스러운
세상에의 고별을 남길 수 있는 건,
아마도 슈베르트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그토록 순수한 영혼이었기에 있었을 법한 일.
- Ludwig Rellstab이 쓴 원시의 1연을 풀어 써 보았다. 독일어 원문과 영어 번역은 lieder.net 참조. http://www.lieder.net/lieder/get_text.html?TextId=13375 [본문으로]
'Music for A Wh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rka Serduchka (베르카 세르두쉬카), Dancing Lasha Tumbai (0) | 2017.05.12 |
---|---|
Kate Tempest performs "We Die" | 케이트 템페스트, 노래하는 시인 (0) | 2017.04.16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2번 1악장 performed by 아쉬케나지 & 하이팅크, 런던 필하모닉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