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의 두해살이 풀이라니,
한해살이면 이해가 쉬운데
딱 이듬해까지만 바라보고 사는
식물이라니.
보통 ‘개-’라는 접두사는
진짜가 아닌 것,
본래보다 못한 것,
변변치 않은 것에 쓰인다고
알고 있는데,
개망초꽃은 왜 이리 예쁜가.
개망초니 망초가 있을테고
당연히 망초꽃도 있는데
(여기 참조)
개망초꽃이 사람의 눈에는
훨씬 예뻐 보이니,
하긴 나리꽃에 버금갈
개나리도 예쁘지 않은가,
개망초꽃이라고 뭐 다르란 법
있던가, 싶기도.
5월에서 7월,
9월에서 10월 사이
흙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피어있는
이 꽃의 이름을,
이제야
알게 되다.
'Flora & Fau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 in a book “숲은 생각한다” (0) | 2019.06.01 |
---|---|
20190529 은행나무 (Ginkgo biloba L.) at 서울숲 (0) | 2019.05.29 |
20190528 개양귀비 (Papaver rhoeas L. (1753) at 안양천 (0) | 2019.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