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멸(幻滅)과 환멸(還滅) 사이.
生心,
마음이 무성하여
길을 찾을 수 없네.
'Soliloqu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XX : “Ever tried. Ever failed.” (0) | 2015.11.04 |
---|---|
XXVIII :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二律背反 (0) | 2015.11.02 |
XXVII : 당신이 만약 기후변화에 관심이 있다면 (0) | 2015.11.02 |
환멸(幻滅)과 환멸(還滅) 사이.
生心,
마음이 무성하여
길을 찾을 수 없네.
XXX : “Ever tried. Ever failed.” (0) | 2015.11.04 |
---|---|
XXVIII :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二律背反 (0) | 2015.11.02 |
XXVII : 당신이 만약 기후변화에 관심이 있다면 (0) | 2015.11.02 |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二律背反,
앎과 행동의 불일치.
오늘 내려마신 원두에
고스란히 남아있는 water footprint;
생두를 키우고 씻어내기 위해
물부족 국가에서 낭비된 물을 생각한다면,
과연 내 삶의 욕망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까 싶다.
XXIX : 生心, 마음이 무성하여 길을 찾을 수 없네 (0) | 2015.11.04 |
---|---|
XXVII : 당신이 만약 기후변화에 관심이 있다면 (0) | 2015.11.02 |
XXVI : ‘지속가능한 성장’은 허구다 (0) | 2015.11.02 |
당신이 만약 기후변화에 관심이 있다면,
그래서 무언가 실천방법들을 찾고 있다면,
단 하나의 단어만 기억하면 된다:
줄여라(Reduce)!
우리는 지나치게 많이 소유하며,
지나치게 많이 생산한다.
우리가 타고, 먹고, 태우고, 버리고,
사고, 갖고, 씻고, 닦고, 입는 모든 것을 줄이지 않는 한,
기후변화로 인한 재앙은 멈출 수 없다.
XXVIII :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二律背反 (0) | 2015.11.02 |
---|---|
XXVI : ‘지속가능한 성장’은 허구다 (0) | 2015.11.02 |
XXV :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회에서 (0) | 2015.11.02 |
‘지속가능한 성장’은 허구다.
‘성장’이 목표에 포함되는 한,
지속과 공존은 가능하지 않다.
XXVII : 당신이 만약 기후변화에 관심이 있다면 (0) | 2015.11.02 |
---|---|
XXV :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회에서 (0) | 2015.11.02 |
XXIV (0) | 2015.10.31 |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회에서
부도덕을 정당화하는 유일한 방식은
노동을 제공하는 사람들을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이 나라에서 노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이들이
매일같이 모멸감을 느끼게 되는 이유다.
XXVI : ‘지속가능한 성장’은 허구다 (0) | 2015.11.02 |
---|---|
XXIV (0) | 2015.10.31 |
XXIII : “Break, heart; I prithee, break!” (0) | 2015.10.31 |
XXV :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회에서 (0) | 2015.11.02 |
---|---|
XXIII : “Break, heart; I prithee, break!” (0) | 2015.10.31 |
XXII : 나이가 드니 쓰고싶은 것보다 (0) | 2015.10.31 |
Break, heart; I prithee, break!
— King Lear, Act V Scene 3
XXIV (0) | 2015.10.31 |
---|---|
XXII : 나이가 드니 쓰고싶은 것보다 (0) | 2015.10.31 |
XXI : 하나의 생명체를 죽인 것을 보상하려면 (0) | 2015.10.28 |
쓰고싶은 것보다
지우고 싶은 것이 많아진다
XXIII : “Break, heart; I prithee, break!” (0) | 2015.10.31 |
---|---|
XXI : 하나의 생명체를 죽인 것을 보상하려면 (0) | 2015.10.28 |
XX : 이제 우리는 어디로 (0) | 2015.10.28 |
가볍고, 약간 밍밍한 듯한 느낌의 첫 맛,
그리고 이어서 올라오는 구수한 바디감.
조금 식으면서 짙어지는 산미(酸味; 신 맛).
오래 남는 깊은 맛인데,
인도네시아 린통이나 발리 피베리가
입 안 한 가득 뭔가가 남는 느낌이라면
파나마 팔미라는 아주 산뜻하게 남는다.
스트레이트하게 치고 올라왔다가
뒷 맛도 아주 정직하게 떨어진다.
그래프로 따진다면 곡선보다는 직선 그래프라고 할까.
이를테면 네바다 사막을 건너다 야영을 하면서
코펠에 대충 원두를 부순 뒤 끓여 먹으면
진짜 맛있을 법하다면 너무 지나친 상상력일까.
새로 볶았다며 권해 준 단골 커피집 사장님도
아직 맛을 못 봤다면서 포장된 원두와 함께
드립을 조금 내려 주셔서 같이 맛을 보니,
정말 커피의 세계란 깊고도 넓구나, 싶다.
(이렇게 직접 내려 준 서비스 커피를 같이 마시며
커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게
재래시장 단골 커피집이 있는 장점이다.)
그 사장님 얘기로는 코나와 비슷한 면도 있고,
아마도 케냐AA를 좋아하는 애호가라면 좋아할 맛이라는 평.
하지만 일반적인 평가에는 늘 예외가 있는 법이고,
더욱이 코나는 먹어본 적이 없어 코멘트를 달기는 힘들다.
에스프레소로 먹어도 참 맛있을 것 같아
저녁을 먹자마자 얼른 모카포트로 한 잔 더 마신다.
산뜻하다.
밥 먹고 먹어도 참 좋은 커피다.
앞서도 말했지만
인적 드문 오지에서 끓여먹으면 폼 날 법한 커피.
인도네시아 발리 피베리가 male coffee라고 불리우지만,
발리 피베리가 왠지 머리도 수염도 덥수룩한 남자란다면
파나마 팔미라는 아주 깔끔하게 면도하고
머리도 잘 단정된 카우보이의 느낌.
세상에 맛있는 커피 참 많다,
새삼 느낀다.
인도네시아 아체 가요 (Indonesia Aceh Gayo) (0) | 2016.06.22 |
---|---|
태국 도이퉁 (Thailand Doitung), Classic Roasting (0) | 2015.10.23 |
과테말라 안티구아 (Guatemala Antigua) (0) | 2015.10.21 |
하나의 생명체를 죽인 것을 보상하려면,
얼마나 많은 생명을 살려야 하는 걸까.
아니,
과연 보상이 가능한 것이기는 할까.
XXII : 나이가 드니 쓰고싶은 것보다 (0) | 2015.10.31 |
---|---|
XX : 이제 우리는 어디로 (0) | 2015.10.28 |
XIX (0) | 201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