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마가 끝난 뒤로도

좀처럼 채워지지 않는 채소 판매칸을 두고

계산대에 계신 분과 

기후위기에 대해 몇 마디를 나누다가, 


‘아마 저희 세대가 누릴 것 누릴 수 있었던

마지막 세대가 아닌가 싶어요’라는

상투적인 문장으로 마무리 짓고 돌아나오는데

아차, 싶었다.


어쩌면 나의 세대가 

누릴 것을 웬만큼 누려봤기 때문에

이 사달이 난 건가, 

새삼 깨닫고는 찾아든 아연啞然.


2

환경문제에 나름 관심이 많다고, 

또 일상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내 삶을 많이 바꿔왔다고 생각해 왔으나, 


알고보면 지금보다 훨씬 덜 풍요로웠던

1970, 80년대 유년시절에 비하면

수십 배 내지는 백 수십 배 정도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는 것

(코로나19 때문에 사용하는 마스크만 해도!),


나아가 

설령 내가 내 유년 시절의 기준으로 

내 삶을 돌린다해도 나의 삶은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배출의 속도를 다소나마 늦추는 것에 

불과할 것이라는 냉혹한 진실

(흥청망청이거나 야금야금이거나), 


하기는 사람이 숨쉬는 것만 하더라도

이미 다소나마 이산화탄소를 

대기에 더하고 있는 것이니,


호프 자런의 새 책 제목마따나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3

작고하신 김종철 선생님이 지난 해 칼럼에서

지금 서양에서는 무너지는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있다”고 

쓰신 적이 있는데[각주:1],


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생각한다면

내가 배출하는 탄소의 양 자체를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다면

배출하는 기간을 줄여야 하는 것 아닌가, 


싶어져서 다시 한번 아찔하고 

아연啞然해지는 것이다. 

  1. 김종철, ‘툰베리의 결기’, “한겨레” 2019. 9. 20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10196.html)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