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식물원에 가보니,
1
곳곳이 어수선, 아직 완벽하지 않다,
그러므로 다음에 갈 때 분명히
나아져 있을 것이다,
실망보다는 그런 종류의 기대감,
2
식물학의 기본원리는 도대체 뭘까,
궁금해지는데,
땅에 붙어 자라는 비비추부터
열대 온실의 3~4미터는 족히 될
거대한 나무까지 비짜루과에 묶이고,
무슨 콩과 식물과 백합과 식물이
사람 키보다 크고,
이름도 예쁘장한 뽀뽀나무과는
찾아보니 무슨 130속에
2,300~2,500종이 된다고 하고,
이걸 연구하는 건 보통 일이 아니겠구나,
그런데 흥미로운 걸, 싶기도,
3
그래도 역시 가장 마음에 가는 건
꿀풀과의 허브 식물들과
고사리군 식물들의 다양한,
아름다운 패턴,
4
나는 나무와 풀과 함께
하루종일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이구나,
깨닫게 되면서,
5
앞으로 시간 남을 때,
계절이 달라질 때,
햇빛이 달라질 때
종종 가보게 될 곳.
'Soliloqu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XCVI : 마지막 출근을 마쳤다 (0) | 2019.05.10 |
---|---|
CCXCIV (0) | 2019.04.26 |
CCXCIII : 옳은 것은 ‘존재’가 아니라 ‘행동’이다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