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눈을 뜨면
영국의 Classic FM을
습관적으로 맞춘다.
나의 아침은 실은
어젯밤의 음악으로
시작되는 것이다.
지금 영국은 썸머타임,
누군가는 자정을 넘기며
이 음악들을 같이 듣겠다.
인터넷이 열어놓은
이 기묘한 시간의 감각,
새삼 흥미롭다.
읽던 책에 ‘천남성(天南星)’이 나오기에
얼마나 예쁜 식물이기에
별 星자가 붙어있나 싶어
구글링을 해보니,
아니 이렇게 근육질적인 꽃이라니,
심지어 꽃차례 이름도
육수(肉穗) 꽃차례,
줄기에서 꽃으로 굵직하게 이어지는
그 살집이 떠오르는데,
나름의 방식으로 아름답지만
이름이 준 느낌과는 사뭇 달라
한참을 혼자서 웃었다.
특히 천남성은
관상용으로 많이 키운다던데
본 기억이 별로 없다.
앞으로 눈여겨 보아야 할
식물이 하나 더 늘었다.
수레국화니 애기똥풀이니 개망초니
요즘 주변에 흔한 식물들
이름을 알아가는 게,
그래서 예전에는
못 보고 지나치던 자리에 피어난
이런 들꽃들을 보는 게
몹시도 신기하고 아이처럼 즐거운데,
그런데 꽃이 지면 어쩌나,
꽃이 져도 내가 그들을
알아볼 수 있을까,
혹은 꽃을 피우기 전
싹이 돋아낼 때의 모습들을
내가 구별할 수 있을까,
어쩌면 내가 최근 알아가는
‘이름’들은 알고보면 어떤 식물이 아니라
그 식물의 일부에 불과한
꽃의 이름인지도 모르겠다고,
그래서 내가 알고 있는 건
수레국화꽃, 애기똥풀꽃, 개망초꽃,
그 꽃들이 지면 기억도 사라지겠지,
싶어져서,
(그리고 또 이미지 검색으로도
이름을 찾을 수 없는 꽃들은
도대체 어쩌라고,)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이라니,
한해살이면 이해가 쉬운데
딱 이듬해까지만 바라보고 사는
식물이라니.
보통 ‘개-’라는 접두사는
진짜가 아닌 것,
본래보다 못한 것,
변변치 않은 것에 쓰인다고
알고 있는데,
개망초꽃은 왜 이리 예쁜가.
개망초니 망초가 있을테고
당연히 망초꽃도 있는데
(여기 참조)
개망초꽃이 사람의 눈에는
훨씬 예뻐 보이니,
하긴 나리꽃에 버금갈
개나리도 예쁘지 않은가,
개망초꽃이라고 뭐 다르란 법
있던가, 싶기도.
5월에서 7월,
9월에서 10월 사이
흙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피어있는
이 꽃의 이름을,
이제야
알게 되다.

은행나무
Ginkgo biloba L.
서울숲에서,
은행나무가 아주 자그마한 숲처럼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길거리에서 흔히 보던,
띄엄띄엄 흩어져 서있던 나무가
이렇게 한 데 모여있으니
그 또한 장관이었다.
어디서 마주친들 은행나무를
알아보지 못할 일은 없을테니,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담아본다,
은행나무,
그리고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