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저만의 기준을 고집하다가

시대에 뒤떨어진’ 어떤 것을 비유할 때

갈라파고스를 끌어다 붙이는 것은 얼마나

가증스러운 일인가. 


실상 갈라파고스의 이제는 멸종한 

수많은 생명체들은 

이미 각자의 계통에 있어서는

진화의 첨단에 있었으며, 

포식자와 피식자가 

서로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며 

비교적 느린 시간 속에서 

여전히 진화하고 있었던 생명체들일 터인데, 


느닷없이 새로운 곳을 정복하고

새로운 것을 소유하고 싶은 욕망에 싸인

인간들의 방문으로, 

그리고 그들에 붙어 따라온

생전 처음 접하는 쥐들이며 세균들 탓에

적응할 새도 없이 무참히 죽어간 것일 뿐인데. 


그러므로 갈라파고스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의 비유로서가 아니라 

인간이 현재도 전지구적으로 저지르고 있는,

다른 생명체들이 미처 적응할 여유도 없는

이 위태로운 변화들과 위협들을 상징하는

사례로서 사용되어야 한다. 


인간들이 자신들이 어떤 일을 저질렀는 지

모르거나 혹은 무시하면서

그저 편의에 따라 입심좋게 

다른 생명체들을 왜곡하는 한편으로

여전히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들을

무리한 사냥과 남획으로,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오염물 배출과

해양 산성화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방식으로

대멸종의 위기에 처하게 만들고 있는 것을 보면, 


또 하나의 인간으로서 나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질 뿐이고, 

이제는 분노도 안타까움도 아닌

그저 슬픔만이 가득할 뿐이다. 


1

어릴 적의 그 노래들은, 

그러니까 ‘오빠생각’이나 ‘섬집아기’, 

‘나뭇잎 배’ 등

우리가 좋아한 노래들은 왜 그렇게 

하나같이 슬펐을까. 


아니, 어쩌면, 

오랜 세월을 견뎌낸 노래들은,

이를테면 ‘타박네’나 ‘진주난봉가’나 

수많은 전국의 ‘아리랑’들, 

혹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그런 민요들은 왜 그렇게

한결같이 서늘한 마음을 담고 있었을까. 


2

무릇 기쁨은 노래보다는 춤이 되고

(그러니까, 덩실덩실),

슬픔은 노래가 되기 마련인가. 


이루지 못한 것들과 

지키지 못한 것들에 대한, 

말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더이상 말로 표현할 수 없어 취하는

모종의 형식인 걸까. 


듣다가 부르다가 망연해지는, 

마음 깊이 묻어놓았던 그리움이며 서글픔이며

애틋함과 애절함, 아쉬움 같은 것들이 

뭉실뭉실 피어오르는. 


마무리짓지 못한 이야기들은

늘 돌아보고 반추하게 만드는 것인가. 

그렇게 (목놓아) 노래를 불러도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시절이며 사람이며,

꿈이며, 연정이며에.

 

3

이런저런 생각들을

빌 에반스가 1962년 녹음한 

‘Danny Boy’를 들으며 머리 속에 궁글려 본다. 


4

‘Danny Boy’는 아일랜드의 민요

‘Londonderry Air’의 곡조에 

웨덜리가 가사를 붙인 노래. 


그러므로 아일랜드의, 

이웃 잉글랜드의 탄압과 척박한 토지에 

농사가 망칠 때마다 수없이

수없는 사람들이 고향을 등져야만 했던 역사,

그리고 아마도 섬나라의 갯마을에는 늘 따를 법한 

배타고 나가 돌아오지 못하는 이들의 이야기가

떠오르는 노래.


5

위의 연주는

1999년 발매된 “Time Remembered”의 첫 트랙. 

1958년에서 63년 사이 녹음된 음원들로,

척 이스라엘의 베이스, 래리 벙커의 드럼이 함께 하지만

이 트랙을 비롯한 네 곡은  62년 4월 뉴욕에서 

빌 에반스의 솔로로 별도로 진행된 세션이다. 


1983년에 동일한 타이틀로, 

LP로 발매된 적이 있었으나 

곡의 구성이 다르다. 

위키피디아는 이를 두고, 

가급적 빌 에반스를 좋아하는 팬들이

겹치는 곡들 없이 CD를 살 수 있도록 한 

기획이라고 설명한다. 


페터 한트케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그가 유고내전과 세르비아의 인종학살을 

자행한 밀로셰비치에 대한 옹호와

학살에 대한 부인 등으로 논란이 되고있다는

기사를 읽다보니 이런 의문이 든다. 


과연 문학상이라는 게 필요한가. 

문학이 어떤 잣대로 잴 수 있는 것인가. 

문학을 평가하고 시상하는 자들은 누구인가. 

그들은 그럴 권리가 있는가. 

어떤 문학작품이 과연 작가의 이력이나 

사상과는 무관하게 받아들여져야 하는가. 


대개의 질문들은 명쾌한 답이 없지만, 

나는 과연 노벨문학상이 필요한가에 대해

언제나 대단히 회의적이었지만 

올해의 논란을 보면서 이젠 없어져도 상관없을, 

없어지는 게 나을 상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 생각이 뭐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강금연 외, “시가 뭐고? — 칠곡 할매들, 시를 쓰다” 중에서


내가 이런 문장을 쓸 수 있을까, 과연. 


이 문장들은 어쩌면 생애 첫 문장,

평생 쓰고읽는 법을 배울 수 없었던, 

배우지 못했던 이들이 처음으로

세상에 드러내보이는 속마음. 


이제 글을 읽고 쓸 수 있다는 기쁨, 

맞춤법은 좀 틀리더라도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쓸 수 있게 되었다는 자부심,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는 

좀 고상한 것 아니냐고, 

내가 감히 써도 되느냐는 겸허함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짜라’는 건지

어쨌든 뭘 쓰긴 써야겠는데 싶어

솔직하게 툭 내던지는 말들 속의 

견고한 리듬감, 


무엇보다 89명의 ‘할매들’의 

삶의 희로애락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을 것만 같은 글들이다. 


점점 더 치장하고 숨기고 젠체하는

글들에 더이상 끌리지 않는 요즈음, 

참으로 즐거운 독서다. 


친환경 선풍기 보관 커버를 구했다. 

크기도 너비도 여유가 충분하니

어떤 선풍기든 뒤집어 씌울 수 있겠다. 

외양이 중요하다면 하는 수 없지만.

+ Recent posts